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 총정리(종합소득세 환급금)
- 생활정보
- 2025. 5. 14. 20:55
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: 개요와 주요 데이터
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는 종합소득세 환급금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2025년 3월 31일 공식 개통된 국세청의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. 이 서비스는 환급 사실이나 신청 방법을 몰라 신고기한을 놓친 납세자, 또는 생업에 바빠 환급 신고를 하지 못한 이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. 기존 민간 세무 플랫폼(예: ‘삼쩜삼’)과 달리, 국세청이 직접 제공하며 수수료가 전혀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.
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란?
국세청 원클릭 서비스는 납세자들이 놓친 종합소득세 환급금을 쉽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입니다.
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 대상 및 규모
- 환급 대상자: 5,000원 이상 환급 세액이 있는 납세자 총 311만 명
- 근로소득자: 90만 명
- 인적용역 소득자(예: 배달라이더, 학원강사 등): 160만 명
- 기타·연금소득자: 61만 명
- N잡러(근로·사업소득 등 복수 소득자): 75만 명 (전체의 24%)
- 60대 이상 고령자: 107만 명 (전체의 34%)
- 환급금 규모: 2020~2024년 5개 연도분, 총 2,900억 원
- 신청 기간: 2020~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미신청 환급분까지 최대 5년 치 신청 가능
원클릭 환급 서비스 신청 방법 및 신청 절차
- 신청 방식: PC 또는 모바일에서 국세청 홈택스 접속 → ‘원클릭 환급 신고’ 버튼 클릭 → 간편 인증 로그인 → 환급 금액 확인 및 신청
- 알림 서비스: 환급 대상자에게 국세청 인증 마크가 포함된 알림톡 또는 안내문 발송
- 신청 절차:
- 안내된 환급 금액이 맞으면 ‘이대로 신고하기’ 버튼 클릭으로 즉시 신청 완료
- 신고 내용이 다를 경우 ‘신고화면 이동’ 버튼을 눌러 자동 채워진 신고 내용을 수정 후 신청 가능
- 소득 금액, 공제 내역 등도 수정 가능하며, 수정 시 환급세액 자동 재계산
원클릭 환급 서비스 환급금 지급
- 환급금 지급 시기:
- 안내된 금액을 그대로 신고하면 1개월 이내 지급
- 수정 신고 시 1~3개월 이내 지급
- 비용: 전액 무료 (민간 플랫폼은 환급액의 10~20% 수수료 부과)
- 보안 및 신뢰성: 개인정보 유출 위험 없음, 국세청 빅데이터 분석으로 과다 환급 및 가산세 위험 차단
원클릭 환급 서비스 도입 배경
- 도입 배경: 민간 세무플랫폼(‘삼쩜삼’ 등)의 수수료 부담 해소 및 신고 기한 경과 환급금 자동 안내 필요성
- 서비스 첫날(2025년 3월 31일) 현황:
- 28만 명(중복 포함) 접속
- 8만 명이 60억 원 규모 환급금 신고
주요 특징 요약
항목 | 원클릭 환급 서비스 (국세청) | 민간 세무 플랫폼(삼쩜삼 등) |
---|---|---|
환급 대상 | 311만 명 | 제한 없음 |
환급금 규모 | 2,900억 원 | 미공개 |
신청 가능 기간 | 2020~2024년(5년) | 보통 5년 |
수수료 | 없음 | 환급액의 10~20% |
환급금 지급 | 1~3개월 이내 | 보통 1~3개월 |
보안/신뢰성 | 국세청 직접 처리 | 민간업체 처리 |
안내 방식 | 알림톡/문자 개별 안내 | 자체 안내 |
국세청 원클릭 환급 서비스는 2025년 도입 이후 311만 명의 납세자에게 최대 5년 치(2020~2024년) 종합소득세 환급금, 총 2,900억 원 규모를 안내하고 있습니다. 민간 서비스의 수수료 부담 없이, 클릭 한 번으로 간편하게 환급 신청이 가능하며, 신청 후 1~3개월 이내에 환급금이 지급됩니다. 서비스 개통 첫날 8만 명이 60억 원 환급을 신청하는 등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, 국세청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확한 계산과 개인정보 보호, 과다 환급 방지 등 공공기관만의 신뢰성도 갖추고 있습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일러 교체 지원금 신청 및 방법(2025년 최신 정보) (0) | 2025.05.05 |
---|---|
건강보험 환급금 조회(+신청 자격) (0) | 2025.04.27 |
노령연금 수급자격 정리(+신청방법 수령나이) (0) | 2025.04.21 |
기초연금 수급자격 확인(+재산 최대금액) (1) | 2025.04.21 |
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및 납부 방법 (0) | 2025.04.20 |